임상실무 기본간호 54

검사 전 금식이 필요한 검사 종류와 이유

성인 대상자가 병원에서 검사를 받을 때,일부 검사는 정확한 결과를 위해 일정 시간 동안 금식이 필요. 금식은 검사 결과의 왜곡을 방지하고,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중요한 과정임.   금식이 필요한 주요 검사와 그 이유, 검사 목적.1. 혈액검사 (Blood Test)1) 공복 혈당 검사 (Fasting Blood Glucose Test) 금식 이유: 식사 후에는 혈당 수치가 변동하므로,  정확한 공복 혈당을 측정하기 위해 8시간 이상 금식해야 함.검사 목적: 당뇨병 진단 및 혈당 조절 상태 평가2) 지질 검사 (Lipid Profile Test, 총콜레스테롤, LDL, HDL, 중성지방 등)금식 이유: 음식물 섭취 후 중성지방(triglycerides) 수치가 상승할 수 있으므로,  9~12시간 금식 후 검..

인수 공통 감염병 종류, 특징, 증상, 간호 방법

간호조무사 자격증 시험 대비: 인수공통감염병 종류, 특징, 증상, 간호 방법1. 인수공통감염병이란?인수공통감염병(zoonosis)은 동물과 사람 사이에서 전파되는 감염병을 의미. 바이러스, 박테리아, 곰팡이, 기생충 등에 의해 발생하며,  감염 경로에 따라 직접 접촉, 공기 전파, 음식물 섭취, 매개체(곤충, 설치류) 등을 통해 감염될 수 있음.  1) 주요 감염 경로 직접 접촉: 감염된 동물의 체액, 분비물 접촉 공기 전파: 감염 동물의 배설물, 타액 등이 공기 중으로 퍼짐 식품 매개 감염: 오염된 육류, 유제품 섭취 매개체 감염: 모기, 진드기, 벼룩 등을 통한 전파2. 주요 인수공통감염병 종류와 특징1) 브루셀라증 (Brucellosis)원인균: 브루셀라(Brucella) 균 감염 경로: 오염된 동..

기초 간호 임상실무 _ 멸균법의 개념과 주요 멸균법의 특징

간호조무사 국가고시 대비: 멸균법의 종류와 특징 기초 간호 임상실무 멸균법의 개념과 주요 멸균법의 특징.1. 멸균법(Sterilization)의 개념멸균법이란 미생물을 완전히 제거하여  무균 상태를 유지하는 방법을 의미.  이는 감염 예방을 위해 필수적인 과정이며, 병원 환경에서 다양한 방법이 사용됨.2. 멸균법의 종류와 특징1) 고압증기 멸균법(Autoclave, 증기 멸균법)① 원리: 121~134℃의 고온과 높은 압력(1530psi)의 포화 수증기를 이용하여 미생물을 사멸시킴. ② 특징: 단시간 내 높은 멸균 효과를 가짐. 대부분의 의료 기구 소독이 가능함. 플라스틱, 고무, 섬유 제품 등 열에 약한 물품에는 사용 불가함. ③ 소독 물품 포장 시 주의사항: 수증기가 침투할 수 있도록 포장해야 함. ..

수술실 스크럽 업무와 써큘레이터 간호사의 업무

병원 수술실에서 스크럽(Scrub) 업무는멸균 상태를 유지하면서 수술을 직접 보조하는 역할.스크럽 간호사는 수술 과정에서  외과의사가 원활하게 수술을 진행할 수 있도록 멸균 기구를 준비하고 전달하며,  수술 부위를 관리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함. 1. 스크럽 간호사의 주요 업무1) 수술 전 준비멸균 손 씻기(스크럽) 및 멸균 가운·장갑 착용 수술 기구 및 물품 멸균 상태 점검 및 준비 환자 피부 소독 및 수술 부위 세팅 보조2) 수술 중 역할외과의사에게 필요한 기구 전달 사용한 기구, 거즈, 봉합사 등 수량 체크 수술 부위 관찰 및 출혈 관리 보조 수술 중 발생하는 문제에 신속히 대처3) 수술 후 정리사용한 기구 정리 및 멸균 처리 준비 거즈 및 기구 수량 최종 확인 수술 부위 보호 및 환자 이동 보조 ..

안과 질환과 간호, 백내장, 녹내장, 황반변성, 간호조무사 자격증 시험 대비

안과 질환과 간호 - 간호조무사 자격증 시험 대비 1. 백내장(Cataract)백내장은 눈의 수정체가 혼탁해져 시력이 저하되는 질환임.  주로 노화로 인해 발생하지만  외상, 당뇨병, 스테로이드 장기 복용 등도 원인이 될 수 있음. 증상: 시야 흐림, 눈부심 증가, 색상 인식 저하 간호: 백내장 수술 전후 환자의 정서적 지지, 안약 점안법 교육, 수술 후 감염 예방을 위한 위생 관리 2. 녹내장(Glaucoma)녹내장은 안압 상승으로 시신경이 손상되어 시야가 좁아지는 질환임. 방치 시 실명까지 이를 수 있음. 증상: 초기에는 자각 증상이 거의 없으며, 말기에는 터널 시야(시야가 점점 좁아짐) 발생 간호: 안압 조절을 위한 안약 점안, 생활 습관 교육 (카페인 섭취 제한, 어두운 곳에서의 장시간 독서 금지..

2025 국가 건강 검진, 연령대별 추천 건강 검진

연령대별 추천 건강검진  20대: 건강한 삶을 위한 첫 걸음 1. 자궁경부암 검사 (파파니콜라우 검사)20대 여성은 자궁경부암 검사를 시작해야 한다. 파파니콜라우 검사는 2년에 한 번씩 받는 것이 권장된다.2. 성병 검사성활동이 활발한 20대는 성병 검사도 필요하다. 30대: 생활습관 점검1. 자궁경부암 검사 (파파니콜라우 검사)30대 여성은 2년에 한 번 자궁경부암 검사를 받아야 한다.2. 혈압 측정 및 당뇨검사고혈압과 당뇨병 예방을 위해 정기적인 혈압과 혈당 검사가 필요하다.3. 갑상선 기능 검사갑상선 질환은 30대부터 발생할 수 있으므로 검사하는 것이 좋다.  40대: 고위험군 조기 발견 1. 위암 검사 (위내시경)40대부터 위암 검사를 시작해야 한다. 위내시경은 2년에 한 번씩 받는 것이 좋다. ..

동상의 종류와 치료 및 간호

동상은 극한의 추위로 인해 피부와 조직이 얼어 발생하는 손상이다.  주로 손, 발, 귀, 코와 같은 신체 말단 부위에서 발생한다.1. 동상의 종류1) 표재성 동상 (Superficial Frostbite)① 특징 : 피부 표면이 얼어 붙으면서 피부색이 하얗거나 창백하게 변한다.  감각이 둔해지고 통증이 느껴질 수 있다. ② 증상 : 피부가 차갑고 딱딱해지며 녹을 때 따끔거림과 가려움이 있다. ③ 예후 : 적절히 치료하면 회복되며 조직 손상이 적다. 표재성 동상은 피부 표면과 피하 조직에 발생하는 경미한 동상으로, 주로 손가락, 발가락, 코, 귀 등 노출 부위에 나타난다.  피부가 창백하거나 붉게 변하고, 감각이 둔해지며, 부종이나 물집이 생길 수 있다.   표재성 동상의 예시로는 다음과 같은 증상이 있다..

청진기를 이용한 혈압 측정 방법

청진기를 이용한 혈압 측정은수은 혈압계 또는 **아네로이드 혈압계(압축형)**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며,  일반적으로 상완동맥에서 측정.  혈압 측정의 기본적인 단계 1. 준비1) 필요한 도구: 청진기 혈압계(수은형 또는 아네로이드형) 적절한 크기의 커프(팔둘레에 맞는 것)2) 환자 준비:환자는 조용한 환경에서 편안히 앉거나 누워 있는다. 팔은 심장 높이와 비슷한 위치에 둔다. 측정 전 5분 동안 안정 상태를 유지.3) 커프 위치 선정: 커프를 상완 중앙에 감고, 하단이 팔꿈치 위 약 2~3cm 위치에 오도록 한다. 커프 아래에 상완동맥의 위치를 표시(팔꿈치 안쪽 중앙). 2. 혈압 측정 절차1) 커프 압축: 커프를 손 펌프를 이용해 압축하면서, 청진기를 통해 상완동맥 소리를 듣는다. 동맥 박동음이 사라질 ..

넬라톤 카테터, 폴리 카테터의 차이점과 적용 대상

병원 간호사, 간호조무사 업무: 넬라톤(Nelaton)과 폴리(Foley) 카테터에 대한 이해 간호사로서 카테터 삽입은 흔히 수행하는 절차 중 하나. 넬라톤(Nelaton)과 폴리(Foley) 카테터의 정확한 명칭,  차이점, 적용 대상, 효과, 삽입 순서, 절차, 주의 사항 알아보기.1. 정확한 명칭1) 넬라톤 카테터(Nelaton Catheter) : 일시적으로 소변을 배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카테터로,  일반적으로 유연한 PVC 또는 실리콘 재질. 2) 폴리 카테터(Foley Catheter) : 장기간 소변 배출을 위해 설계된 카테터로,  끝에 풍선(balloon)이 있어 방광 내부에 고정. 2. 차이점 3. 적용 대상1) 넬라톤 카테터 단기적인 소변 배출이 필요한 환자 배뇨 곤란 또는 요폐(uri..

목발의 종류와 목발의 정확한 사용 방법

부상 회복의 첫걸음인 목발의 종류와 정확한 사용 방법 1. 목발이란?부상이나 질병으로 인해  다리나 발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보조하는 도구인 목발은  일상생활 복귀에 큰 도움을 준다.  하지만 잘못된 사용은 부상의 악화를 초래할 수 있어 정확한 이해가 중요하다.2. 목발의 종류1) 액셀러레이터형 목발 (Underarm Crutch)특징: 겨드랑이에 받침대가 있는 가장 흔한 목발. 주로 단기적인 부상에 사용. 장점: 안정적이고 사용법이 비교적 간단함. 단점: 장기간 사용 시 겨드랑이 피부 압박 및 신경 손상 위험.2) 팔목 지지형 목발 (Forearm Crutch / Loftstrand Crutch)특징: 팔목에 고정하는 구조로 주로 만성질환 환자나 장기적인 재활이 필요한 경우 사용. 장점: 겨드랑이에 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