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실무 기본간호

포도구균 식중독(Staphylococcal Food Poisoning)과 장독소 엔테로톡신(Enterotoxin)

리치그린 2025. 3. 14. 12:34

포도구균 식중독과 장독소 엔테로톡신(Enterotoxin)

포도구균 식중독이란?

포도구균 식중독은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이 생성하는 
**장독소(엔테로톡신, enterotoxin)**에 의해 발생하는 독소형 식중독이다. 


오염된 음식을 섭취한 후 1~6시간 이내에 증상이 나타나며, 

주로 급성 위장관 증상을 유발한다.

식중독과-자연독소

장독소(엔테로톡신, Enterotoxin)의 특징

1. 강한 내열성

100℃에서 30분 가열해도 파괴되지 않음 → 조리 후에도 독소가 남아 식중독을 유발할 수 있음

2. 위산 및 소화효소 저항성

위산이나 소화효소에도 분해되지 않아 위장관에서 직접 작용하여 식중독 증상을 일으킴

 

3. 주요 엔테로톡신 유형

현재까지 A, B, C, D, E 등 여러 종류가 알려져 있으며, 특히 엔테로톡신 A형이 가장 흔한 원인이다.

엔테로톡신의-유형
엔테로톡신의-유형

 

포도구균 식중독의 원인 및 감염 경로

1. 주요 서식지

사람과 동물의 피부, 점막, 호흡기 등에 정상 상재균으로 존재
특히 손, 코(비강), 피부 상처에서 많이 검출됨

2. 감염 경로

조리 과정에서 손을 통한 오염 → 조리자가 상처가 있는 손으로 음식을 다룰 경우 균이 전파됨
식품 보관 부주의 → 실온에서 방치된 음식에서 균이 증식하며 엔테로톡신 생성
주요 원인 식품: 유제품, 육류, 샐러드, 크림이 들어간 디저트, 햄, 계란 요리 등

포도구균 식중독의 증상

1. 잠복기

**1~6시간(평균 2~4시간)**으로 매우 짧음

2. 주요 증상

급성 구토 및 오심(주증상)
복통, 설사
심한 경우 탈수 및 전신 무력감
발열은 드물며, 보통 24시간 이내에 회복됨

 

3. 치료 방법

대증 치료가 원칙이며, 보통 24시간 내 증상 완화됨
심한 경우 수액 요법으로 탈수 보충
항생제는 효과 없음 (독소형 식중독이므로 원인균 제거가 불필요함)

4. 예방법

✅ 손 씻기 철저히 하기 → 조리 전후 손 위생 관리 필수
✅ 식품 보관 온도 준수 → 4℃ 이하 냉장 보관, 60℃ 이상 가열 보관
✅ 조리 기구 및 식재료 위생 관리 → 교차 오염 방지
✅ 상처가 있는 조리자는 식품 조리 금지
✅ 음식을 실온에 오래 방치하지 않기 (특히 여름철)

결론

포도구균 식중독은 황색포도상구균이 생성하는 **엔테로톡신(enterotoxin)**에 의해 발생하며, 
주로 구토, 복통, 설사 등의 증상을 유발한다. 


잠복기가 짧고(1~6시간), 열에 강한 독소이므로 조리 후에도 감염 위험이 있다. 
예방을 위해서는 손 씻기, 위생적인 조리, 적절한 식품 보관이 필수적이다.

 

함께 보면 좋은 글

 

신생아 반사 반응, 반사 행동 정리

 

신생아 반사 반응, 반사 행동 정리

신생아 반사 반응 (반사 행동) 정리신생아는 태어나면서 여러 가지 반사 반응을 보입니다.  신생아 반사 반응은 아기의 신경계 발달과 건강 상태를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이

do2.blue-oasis.kr

 

모유수유 중 식단 가이드 _ 권장 음식과 피해야 할 음식

 

모유수유 중 식단 가이드 _ 권장 음식과 피해야 할 음식

모유수유 중 식단 가이드: 권장 음식과 피해야 할 음식 모유수유를 하는 동안 엄마의 식단은 아기의 건강과 성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올바른 영양 섭취를 통해 모유의 질

do2.blue-oasis.kr

 

의료법상 의료기관의 종류와 구분 요건

 

의료법상 의료기관의 종류 및 구분 요건

의료법상 의료기관의 종류 및 구분 요건의료법에서는 의료기관을 의원, 병원, 종합병원, 상급종합병원, 전문병원으로 구분하며,  각각의 요건을 명확히 규정하고 있음. 의료기관의

do2.blue-oasis.k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