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간호 13

아기가 열이 날 때? 영유아 고열 원인과 대처법

영유아 고열의 원인, 증상, 치료 방법, 의심 질병 및 질환에 대한 자세한 설명 영유아에게 고열이 발생하는 것은 부모에게 매우 걱정스러운 상황일 수 있다.  고열은 체온이 38도 이상으로 상승하는 상태를 말하며, 어린이의 면역 체계가 미성숙하여 다양한 감염에 취약하기 때문에 여러 가지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영유아의 고열이 발생하는 원인, 증상, 치료 방법 및 의심되는 질병들을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1. 영유아 고열의 원인영유아의 고열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주된 원인은 감염성 질환이지만, 때로는 비감염성 질환이나 환경적 요인에 의해서도 나타날 수 있다. 1) 감염성 원인① 바이러스 감염 감기: 상기도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고열이 흔하며, 기침, 콧물, 인후통 등이 ..

아동간호 2025.03.26

부모가 알아야 할 소아 탈장 원인과 증상, 진단 방법

소아 탈장은 어린이에게 발생할 수 있는 질환으로,주로 복부나 서혜부 (허리 주변) 부위에서 발생한다.  탈장은 내부 장기가 복부 벽을 통해 몸 밖으로 밀려 나오는 상태를 말한다.  소아에서의 탈장은 대부분 선천적으로 발생하며, 증상과 치료 방법에 대해 잘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글에서는 소아 탈장의 원인, 증상, 진단 방법, 치료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겠다.1. 소아 탈장의 원인소아 탈장은 대부분 선천적으로 발생한다.  이는 태아가 자궁에 있을 때, 내부 장기가 제자리로 잘 정착되지 않거나 복부벽이 제대로 닫히지 않아서 발생하는 것이다.  선천적 탈장은 아이가 태어날 때부터 이미 복부 벽의 약한 부위가 존재하게 되어 장기나 장막이 그 부위를 통해 밀려 나오는 현상이 일어난다.1) 서혜부 탈장 (I..

아동간호 2025.03.23

신생아 반사 반응, 반사 행동 정리

신생아 반사 반응 (반사 행동) 정리신생아는 태어나면서 여러 가지 반사 반응을 보입니다.  신생아 반사 반응은 아기의 신경계 발달과 건강 상태를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이들 반사는 아기가 자극에 반응하는 기본적인 행동으로,  아기의 운동 및 인지 능력이 발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각 반사는 특정 시기에 나타나며,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의도적인 동작으로 대체되거나 사라집니다. 1. 빨기 반사 (Sucking Reflex)설명: 빨기 반사는 아기가 입술이나 입 주위에 자극을 받으면 자동으로 입을 벌리고 빨기 동작을 하게 되는 반응입니다.발생 시기: 생후 1개월 내에 나타납니다. 소실 시기: 생후 3개월 내에 사라집니다. 이 시점 이후 아기는 의도적으로 빨거나 흡입할 수 있는 능력을 발달시킵니다..

아동간호 2025.03.12

신생아 핵황달의 원인, 증상 및 치료 방법

신생아 핵황달: 원인, 증상 및 치료 방법신생아 황달은 흔한 현상이지만, 심한 경우 핵황달(Kernicterus) 로 진행될 수 있다. 핵황달은 빌리루빈 수치가 비정상적으로 높아 뇌에 침착되어 신경 손상을 일으키는 심각한 질환이다.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신생아에게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번 글에서는 신생아 핵황달의 원인, 증상, 진단 및 치료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 신생아 핵황달이란?신생아 핵황달(Kernicterus)은  혈액 내 총 빌리루빈(Total Bilirubin, TB) 수치가 비정상적으로 상승하여  중추신경계, 특히 뇌의 기저핵(Basal Ganglia)에 침착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는 영구적인 신경 손상을 초래할 수 있으며, 치료하지 않으면 심각한 합병..

아동간호 2025.03.12

아동간호 _ 신생아 황달 원인 및 간호

✅ 신생아 황달 원인 및 간호신생아 황달은 신생아기에서 흔히 발생하는 질환으로, 보통 2~3일째 나타난다.  신생아 황달의 원인과 간호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1. 황달의 원인생리적 황달: 출생 후 2~3일 이내에 발생하는 황달로, 대개 1주일 이내에 저절로 회복된다.  신생아의 간이 성숙하지 않아 빌리루빈 처리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이다.모유 황달: 모유 수유 중인 신생아에게 발생할 수 있는 황달로,  수유와 관련된 호르몬이나 성분이 영향을 미친다. 병리적 황달: 간 질환, 감염, 혈액형 불일치 등으로 발생하며, 치료가 필요하다.  병리적 황달은 생후 24시간 이내에 발생하거나 급격히 진행된다.2. 간호광선 치료: 광선 치료는 빌리루빈을 분해하는 데 효과적이다.  피부에 직접 광선을 쬐어 간이 빌리루빈을 ..

아동간호 2025.03.12

신생아 건강 상태 _ APGAR(아프가) 점수

APGAR 점수는 신생아 출생 직후 생리적 상태를 평가하는 중요한 도구로,  신생아가 출생 후 얼마나 잘 적응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사용된다. APGAR 점수는 Virginia Apgar 박사에 의해 1952년에 개발되었으며, 주로 출생 후 1분과 5분에 측정된다.  이는 신생아의 생명 유지 능력과 상태를 평가하고,  필요한 치료나 처치를 신속하게 결정할 수 있도록 돕는다. "A. 피부 P. 맥박 G. 반응 A. 근긴장도 R. 호흡"으로 구성된 APGAR 점수는  Apgar 점수에서 각 항목의 첫 글자를 따서 기억할 수 있도록 정리된 형태. Apgar 점수는 신생아가 출생 직후 얼마나 잘 적응하고 있는지를 평가하는데 사용되는 중요한 도구.  이를 통해 신생아의 생리적 상태를 빠르게 파악하고,필요한 ..

아동간호 2025.03.12

미숙아 간호 관리_인큐베이터 간호

미숙아 간호 관리 – 인큐베이터 간호 및 온도·습도 조절미숙아(premature infant)란 재태기간 37주 미만에 출생한 신생아를 말하며,  장기 기능이 미숙하여 집중적인 간호가 필요. 미숙아는 체온 유지 능력이 부족하고, 감염 위험이 높으며,  호흡곤란 증후군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큼.  따라서 적절한 간호 관리가 필수적임. 1. 미숙아 간호 관리의 목표체온을 적절히 유지하여 저체온증을 예방함. 감염 예방을 위해 무균적인 환경을 제공함. 호흡을 원활하게 유지하고 산소 공급을 조절함. 영양을 충분히 공급하여 성장과 발달을 촉진함. 정기적인 활력 징후 측정 및 신체 상태를 관찰함.2. 인큐베이터 간호미숙아는 자가 체온 조절이 어려워  일정한 환경을 유지하는 인큐베이터(incubator)에서 ..

아동간호 2025.03.08

아동간호 _ 에릭슨의 성장, 발달 8단계의 특징

2025년 간호조무사 국가고시 자격증기초 간호학 개요 아동 간호성장과 발달 1. 아동 운동 발달의 특성성장, 발달은 규칙적 양상그 속도는 주기적이며 개인차를 보인다신체의 각 부분은 각기 다른 속도로 성장1) 발달, 분화의 순서① 머리에서 발끝 방향으로 발달② 큰 근육에서 작은 근육 순서로 발달③ 몸의 중심에서 말초 방향으로 발달④ 전체 활동에서 부분 활동으로 분화⑤ 일반적인 면에서 특수한 면으로 발전2) 성장, 발달의 영향 요소유전 (체격, 성, 인종, 국적)환경 (산전, 산후 환경) 2. 에릭슨 (Erikson)의 성장, 발달, 8단계의 특징1) 영아기 (출생~1세)근육 조정력 발달, 시각, 청각, 미각 발달1세가 되면 걸을 수 있고 간단한 어휘 구사2) 유아기 (1~3세)수평적 발달에서 수직적 발달로..

아동간호 2024.10.13

아동간호 _ 영유아 전염성 질환 홍역, 볼거리, 수두 간호 돕기

2024 간호조무사 국가고시 기초 간호학 _ 아동간호 전염성 질환에 대한 간호 돕기 _ 입원한 어린이의 간호 168 세균, 바이러스, 리케차, 원충 등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감열 될 수 있는 전염성 질환 1. 홍역 1) 홍역의 원인과 감염 경로 홍역 바이러스 비말감염 2) 홍역의 증상 ① 전구기 (카타르기) 발열 (38~40℃), 기침, 코플릭 반점 ② 발진기 목, 뒤, 귀 아래에서 발진 시작, 얼굴, 몸통, 팔, 다리 순, 손바닥, 발바닥 ③ 회복기 발진이 사라지면서 색소 침착 🤦‍♀️ 코플릭 반점 (Koplick spot) : 입안의 점막에 좁쌀 만한 크기의 물집성 코플릭 반점이 생긴다 3) 홍역의 합병증 중이염, 기관지 폐렴, 기관지염, 설사 등 4) 홍역 환아 간호 돕기 ① 환아 격리 (병실은 ..

아동간호 2024.04.21

아동간호 _ 아동의 고열, 탈수, 경련 입원 간호 돕기

2024 간조사 국가고시기초간호학 개요 _ 아동간호입원한 어린이 간호 : 아동의 흔한 건강문제에 대한 간호 돕기 164 1. 고열 (고체온)열에 대한 완화 방법 두 가지 : 약물 투여, 환경적 중재1) 해열제 종류 아세트아미노펜, 아스피린, 비스테로이드 소염제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제)2) 열을 내리기 위한 환경적 중재옷을 벗겨주고 피부를 공기에 노출실내온도를 낮추거나 환기를 증가 3) 38℃ 이상 고열얼음베개, 발은 따뜻하게체온보다 2℃ 낮은 미온수로 닦아준다. 15분~20분35~50% 알코올 마사지4) 반드시 30분 후에 체온을 다시 측정5) 탈수 증상을 확인, 수분 섭취시킨다 2. 탈수1) 아동의 탈수 증상기면 상태팔, 다리 창백입술, 피부 및 점막이 건조하면서 거칠어진다힘 없이 운다약한 호흡, 맥박..

아동간호 2024.04.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