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장은 직장을 통해 용액이나 약물을 주입하여 장을 자극하고 배변을 유도하는 방법으로.
변비 해소, 장 정화, 약물 흡수 등을 목적으로 시행되는 것을 말한다.
1. 관장이 필요한 이유
① 변비 완화 및 장 운동 촉진
② 수술 전 및 내시경 검사 전 장 정화
③ 약물의 직장 내 흡수를 통한 치료 효과
④ 배변 반사가 저하된 환자의 배변 유도
⑤ 중독 시 독성 물질 배출 촉진
2. 관장의 종류
1) 정결 관장
① 목적: 장 내 노폐물 제거 및 대장 정화
② 적용 대상: 변비 환자, 수술 전 환자, 내시경 검사 전 준비가 필요한 환자
③ 방법: 미온수나 생리식염수를 이용하여 직장을 통해 주입 후 배출 유도
2) 유성 관장
① 목적: 완화된 장 자극을 통한 변비 해소
② 적용 대상: 심한 변비 환자, 딱딱한 변 제거가 필요한 경우
③ 방법: 미온 상태의 식물성 오일(올리브유, 미네랄 오일 등)을 주입 후 일정 시간 유지 후 배변 유도
3) 약제 관장
① 목적: 국소적 또는 전신적 치료 효과
② 적용 대상: 해열, 진통, 항경련 등이 필요한 환자
③ 방법: 의사의 처방에 따라 약물을 직장 내 주입
4) 고삼투압 관장
① 목적: 삼투압 작용을 이용한 변 연화 및 배출 촉진
② 적용 대상: 심한 변비 환자, 일반적인 관장으로 효과가 없는 경우
③ 방법: 고농도의 인산나트륨 또는 마그네슘 제제 사용
5) 항문 자극 관장
① 목적: 항문을 자극하여 배변 반사 유도
② 적용 대상: 배변 반사가 저하된 환자, 신경계 손상 환자
③ 방법: 직장 내 자극성 좌약 삽입 후 일정 시간 유지
3. 관장의 적용 대상
변비로 인해 장 기능 개선이 필요한 환자
수술 전 장 정화가 필요한 환자
대장 내시경 검사 전 장 정화가 필요한 환자
약물 흡수를 목적으로 하는 환자
배변 반사가 저하된 환자
신경계 손상으로 인해 배변 장애가 있는 환자
4. 관장의 방법
1) 준비 단계
① 대상자의 상태 확인 및 금기 사항 파악
② 필요한 용품(관장 팩, 윤활제, 방수 시트 등) 준비
③ 대상자에게 절차 설명 및 프라이버시 보호
2) 시행 단계
① 대상자를 좌측 측위(Sims' position)로 위치
② 윤활제를 바른 관장 튜브를 항문에 삽입(약 7~10cm)
③ 용액을 서서히 주입하고 대상자의 반응 관찰
④ 일정 시간 유지 후 배변 유도
3) 사후 관리
① 배변 상태 및 반응 관찰
② 필요 시 항문 주변을 깨끗이 닦고 피부 보호
③ 기록 및 보고
5. 관장 시 간호
1) 대상자의 불편감 최소화
① 적절한 체위 유지 및 심리적 안정 제공
② 용액 주입 속도 조절
③ 배변 후 깨끗이 닦아 피부 자극 최소화
2) 부작용 예방
① 전해질 불균형 및 탈수 방지
② 직장 점막 손상 여부 확인
③ 장 천공 및 출혈 증상 모니터링
3) 기록 및 보고
① 시행한 관장의 종류 및 사용한 용액 기록
② 대상자의 반응 및 배변 상태 관찰 후 보고
③ 이상 반응 발생 시 즉시 의료진에게 알림
#관장 #정결관장 #유성관장 #약제관장 #고삼투압관장 #항문자극관장 #변비 #간호 #배변관리 #장정화
"관장의 종류와 적용 방법: 간호사가 알아야 할 모든 것"
"효과적인 관장법과 간호 관리: 변비부터 수술 준비까지"
"관장 절차와 간호: 환자 맞춤형 치료법"
"변비 해소부터 장 정화까지, 관장의 모든 것"
"간호사를 위한 관장 실무 가이드: 종류, 방법, 주의사항"
함께 보면 좋은 글
병원 바이탈 사인 기계 모니터 보는 방법
병원 바이탈 사인 기계 모니터 보는 방법
병원에서 사용하는 바이탈 사인 모니터는 환자의 생체 징후(혈압, 심박수, 산소포화도, 호흡수, 체온 등)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표시하는 기기임. 간호사 및 간호조무사가 올바
do2.blue-oasis.kr
근로자를 위한 필수 지식! 산재처리와 공상처리의 모든 것.
근로자를 위한 필수 지식! 산재보험과 공상처리의 모든 것
업무 중 발생한 부상이나 질병에 대한 보상 방법으로 산재보험과 공상처리가 있다. 산재보험은 정부가 운영하는 사회보험으로,근로자가 안전하게 치료받고 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다양한
do2.blue-oasis.kr
부모가 알아야 할 소아탈장 원인과 증상, 진단 방법
부모가 알아야 할 소아 탈장 원인과 증상, 진단 방법
소아 탈장은 어린이에게 발생할 수 있는 질환으로,주로 복부나 서혜부 (허리 주변) 부위에서 발생한다. 탈장은 내부 장기가 복부 벽을 통해 몸 밖으로 밀려 나오는 상태를 말한다. 소
do2.blue-oasis.kr
'임상실무 기본간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깨충돌증후군 자가진단법! 이런 증상이 있다면 치료해야 한다 (3) | 2025.03.26 |
---|---|
응급 외상센터 ROSC, 심정지 후 자발 순환 회복의 중요성 (0) | 2025.03.24 |
병원 바이탈 사인 기계 모니터 보는 방법 (1) | 2025.03.19 |
고혈압의 정의와 원인 (0) | 2025.03.15 |
피부 조직의 구조와 기능 (4) | 2025.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