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심정맥관 무균술: 기본 임상 간호에서 꼭 알아야 할 핵심 지침
1. 중심정맥관(Central Venous Catheter, CVC)이란?
1) 정의
① 중심정맥관은 말초정맥이 아닌 **심장 가까이에 위치한 큰 정맥(대정맥)**에 삽입하는 특수한 카테터임.
② 정맥 내 약물 투여, 고농도 수액 공급, 중심정맥압(CVP) 측정, 장기적인 항암요법, 혈액 투석 등을 위해 사용됨.
2) 삽입 부위
① 내경정맥, 쇄골하정맥, 대퇴정맥 등이 대표적인 삽입 부위임.
② 삽입 부위 선택은 감염 위험, 접근성, 환자의 상태 등을 고려하여 결정됨.
2. 중심정맥관 삽입 및 관리 시 무균술의 중요성
1) 무균술(Aseptic Technique)의 정의
① 무균술이란 병원균이나 감염원을 제거하거나 차단하여 감염 예방을 위한 절대적인 청결 유지 기술임.
② 중심정맥관은 체내 깊숙이 삽입되기 때문에 감염 시 패혈증, 생명 위협 등의 위험이 있음.
2) 무균술의 필요성
①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감염(CLABSI)은 병원 내 주요 감염 중 하나로 사망률이 높음.
② 감염 예방을 위해 철저한 손 위생, 무균 장비 사용, 올바른 드레싱 교체가 필수임.
3. 중심정맥관 무균술 절차
1) 준비 단계
① 손 위생 철저히 시행 (비누와 물 또는 알코올 손소독제 사용)
② 멸균 장갑, 가운, 마스크, 고글 착용
③ 멸균 드레싱 키트, 클로르헥시딘 소독제, 멸균 드레이프 준비
2) 삽입 및 드레싱 교체 시 절차
① 클로르헥시딘(Chlorhexidine) 으로 삽입 부위 중심에서 바깥 방향으로 최소 30초 이상 문질러 소독
② 삽입 부위 및 카테터를 멸균 드레이프로 덮어 무균 상태 유지
③ 투명 멸균 드레싱으로 삽입 부위 덮고 고정
④ 드레싱은 일반적으로 7일마다 또는 드레싱 오염, 습기, 이탈 시 즉시 교체
3) 약물 주입 전 관리
① 주입 전 카테터 연결 부위를 알코올 솜으로 15초 이상 소독
② 무균 상태 유지하며 주사기나 수액 세트 연결
③ 사용 후 주입구 닫고 필요 시 헵린락(Heparin Lock) 또는 살균용 플러시(Flush) 시행
4. 중심정맥관 감염 예방을 위한 간호 관리 포인트
1) 간호사의 역할
① 중심정맥관 삽입 및 관리 시 표준주의(Standard Precautions)와 무균술 준수
② 삽입 부위의 발적, 분비물, 통증, 발열 등 감염 징후 관찰
③ 환자 및 보호자에게 자가관리 교육 실시 (드레싱 유지, 손 위생 등)
2) 주의사항
① 불필요한 조작, 드레싱 교체 자제
② 카테터 삽입 일자를 기록하고, 정기적으로 제거 여부 평가
③ 의료진 간 의사소통으로 삽입 일수 단축 노력
5. 중심정맥관 무균술 관련 자주 묻는 질문(FAQ)
1) 중심정맥관 드레싱은 며칠마다 교체해야 하나요?
① 일반적으로 투명 드레싱은 7일마다, 거즈 드레싱은 48시간마다 교체하며, 오염되거나 습기 찼을 경우 즉시 교체함.
2) 소독 시 알코올과 클로르헥시딘 중 무엇이 더 좋은가요?
① 클로르헥시딘은 광범위 항균 효과가 뛰어나며, 중심정맥관 소독 시 가장 권장되는 소독제임.
6. 결론
중심정맥관은 고위험 시술인 만큼, 무균술의 철저한 적용이 감염 예방의 핵심임.
모든 간호사는 무균술 절차를 정확히 숙지하고 실행함으로써, 환자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야 함.
📌 관련 키워드 및 해시태그
키워드: 중심정맥관 무균술, 중심정맥관 간호, 무균술 절차, 중심정맥관 관리, CLABSI 예방, 임상간호 기본술기, 간호조무사 시험
함께 보면 좋은 글
병원 감염관리를 위한 기본 무균술의 이해
병원감염관리를 위한 기본 무균술의 이해
1. 병원감염관리를 위한 기본 무균술의 이해1) 기본 무균술의 개념① 무균술(Aseptic technique)이란 병원균 및 유해 미생물이 감염되지 않도록 예방하는 모든 절차를 의미함 ② 병원 내
do2.blue-oasis.kr
무좀 완치 도우려면 뭘 먹어야 할까? 음식으로 보는 무좀 관리법
무좀 완치 도우려면 뭘 먹어야 할까? 음식으로 보는 무좀 관리법
무좀에 좋은 음식과 피해야 할 음식: 먹는 것도 무좀 치료의 시작1. 무좀과 면역력의 관계 ① 무좀은 곰팡이균(피부사상균)에 의한 감염 질환으로 면역력이 약해지면 더 쉽게 감염되고
do2.blue-oasis.kr
장기 입원 환자의 변비: 원인부터 치료까지 총정리
장기 입원 환자의 변비: 원인부터 치료까지 총정리
1. 장기 입원 환자의 변비란?"변비"는 영어로 constipation.의학 용어나 간호 기록에서는 종종 bowel movement difficulty 또는 infrequent bowel movement와 같은 표현도 함께 사용변비의 정의① 장기 입원 환자의
do2.blue-oasis.kr
'임상실무 기본간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헷갈리는 관절염! 류마티스 vs 골관절염 차이점 완벽 비교 (2) | 2025.04.12 |
---|---|
병원감염관리를 위한 기본 무균술의 이해 (2) | 2025.04.10 |
장기 입원 환자의 변비: 원인부터 치료까지 총정리 (2) | 2025.04.09 |
간암 초기 증상 체크! 피로와 소화불량이 위험 신호일까? (2) | 2025.03.30 |
기침이 계속된다면? 폐암 원인과 주요 증상 체크 (0) | 2025.03.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