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실무 기본간호

검체용기 색상별 구분법|혈액검사 종류별 쉽게 이해하기

그린오아시스 2025. 7. 21. 21:13

혈액검사 검체용기 색상
혈액검사 검체용기 색상

 

혈액검사 튜브 색상별 검체용기란?

병원에서 혈액검사를 받으면 다양한 색깔의 보틀(검체용기)이 등장합니다.

각 보틀은 단순히 색깔이 다른 것이 아니라, 검사 항목에 따라 분류된 과학적 기준을 따릅니다.

이 글에서는 혈액검사 종류별로 어떤 색상의 튜브를 사용하는지, 각 보틀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명확하게 알려드립니다.

 

1. 검체용기 색상별 의미 및 용도

색상마다 첨가제가 다르고 검사 목적이 다릅니다. 이제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1-1. 보라색 튜브: EDTA 용기

보라색 튜브는 EDTA(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라는 항응고제가 포함되어 있어 혈액이 응고되지 않도록 합니다.
주로 혈액세포 검사(CBC, 혈소판, 헤모글로빈 등)에 사용됩니다.

이 튜브는 진단검사의 기본 중 기본으로, 거의 모든 기본 혈액검사에서 사용됩니다.

혈액 검사 보라색 튜브
보라색 튜브  EDTA 용기

 

1-2. 파란색 튜브: 응고 검사

파란색 튜브에는 나트륨 시트레이트(Na-Citrate)가 포함되어 있어 응고 시간을 측정하는 검사에 사용됩니다.
주요 용도는 PT, aPTT, INR 등의 혈액 응고 검사이며, 항응고제 복용 환자의 상태 파악에 필수적입니다.

혈액검사 파란색 튜브
파란색 튜브: 응고 검사

1-3. 초록색 튜브: 혈액 화학검사

초록색 튜브는 헤파린(Lithium Heparin 또는 Sodium Heparin)이 들어 있어 혈액 화학검사에 사용됩니다. 간기능, 신장기능, 전해질, 지질 검사 등에 쓰이며, 신속한 처리가 필요한 응급 검사에서도 자주 사용됩니다.

혈액검사 녹색 튜브
초록색 헤파린 용기

 

 

1-4. 노란색 튜브: 혈청 검사 (SST 튜브)

노란색 튜브는 Serum Separator Tube(SST)라고도 하며, 응고 후 혈청을 분리하기 위한 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호르몬 검사, 면역학적 검사, 종양 표지자 등 다양한 혈청 검사에 폭넓게 사용됩니다.

혈액검사 노란색 튜브
노란색 튜브 SST 튜브

1-5. 회색 튜브: 혈당 검사

회색 튜브는 NaF(불화나트륨) + K옥살레이트가 포함되어 혈당 수치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혈당검사, 당부하검사(GTT) 등에 주로 사용되며, 혈당 안정성을 유지해야 할 때 사용됩니다.

혈액검사 회색튜브
혈액검사 회색 튜브

1-6. 빨간색 튜브: 일반 혈청 검사

빨간색 튜브는 첨가제가 없는 튜브로, 자연 응고 후 혈청을 분리하는 방식입니다. 항체검사, 간단한 면역 검사 등에 사용되며, 가장 기본적인 혈청검사 용기로 분류됩니다.

혈액검사 레드튜브
레드 플레인 튜브

2. 올바른 채혈 순서

검체를 정확히 수집하려면 채혈 순서(order of draw)를 지키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오염 또는 첨가제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순서를 따릅니다:

  1. 1. 혈액 배양용 병 (혈액배양)
  2. 2. 파란색 튜브 (응고검사)
  3. 3. 빨간색 또는 노란색 튜브 (혈청 검사)
  4. 4. 초록색 튜브 (화학검사)
  5. 5. 보라색 튜브 (혈구 검사)
  6. 6. 회색 튜브 (혈당 검사)

B

 

형액검사 검체용기 색상 구분
형액검사 검체용기 색상

 

3. 검사 정확도를 높이는 실무 팁

  • 보틀을 충분히 흔들되 세게 흔들지 마세요. – 항응고제가 골고루 섞여야 합니다.
  • 지정된 채혈량을 정확히 지키세요. – 과도한 양은 응고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 각 튜브는 정해진 시간 내에 분석실로 보내야 합니다.

 

4. 마무리 요약 및 체크포인트

혈액검사에 사용되는 보틀은 색상마다 정확한 목적과 기능이 있습니다. 잘못된 튜브 사용은 진단 오류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의료 실무자 및 학생이라면 반드시 보틀별 색상과 검사 종류를 숙지해야 합니다.

 

 

5. 실무에서 자주 사용하는 혈액검사 예시

실제 병원 또는 검사실에서 자주 시행하는 검사와 해당 검체용기를 아래 표로 정리했습니다.

정확한 튜브 선택은 진단의 시작입니다.

검사 항목 사용 튜브 색상 비고
CBC (전혈구 검사) 보라색 EDTA 사용, 응고 방지
PT, aPTT (응고 검사) 파란색 시트레이트 사용
혈청 화학검사 (간기능, 신장기능) 노란색 또는 빨간색 SST 또는 plain tube
혈당 검사 회색 NaF 첨가
전해질, 지질, 크레아티닌 등 초록색 Heparin 포함

 

6. 보건계열 학생과 간호사를 위한 교육 포인트

보건계열 대학생 및 신규 간호사에게 중요한 학습 포인트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보틀 색상은 기능별로 기억하기 - 예: 보라색=세포검사, 파란색=응고, 초록색=화학검사
  2. 채혈 순서 외우기 - 진공 튜브의 교차 오염을 방지
  3. 분석 시간 내에 검체 보내기 - 검사 정확도 보장
  4. 튜브 라벨 확인 및 바코드 스캔 필수

 

7. 자주 묻는 질문 (FAQ)

Q1. 검체 튜브를 잘못 사용하면 어떻게 되나요?

잘못된 튜브를 사용하면 항응고제 혼입, 응고 실패, 혈청 분리 실패 등이 발생하며 검사 자체가 무효가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확한 색상 선택은 매우 중요합니다.

Q2. 노란색 튜브와 빨간색 튜브는 어떻게 다르나요?

노란색 튜브(SST)는 혈청 분리용 젤이 포함되어 있어 자동으로 혈청과 혈구를 분리합니다.

반면 빨간색 튜브는 첨가제가 없어 자연 응고를 유도하며 일부 간단한 검사에 사용됩니다.

Q3. 왜 채혈 순서를 지켜야 하나요?

튜브 내 항응고제나 첨가제가 다른 튜브로 오염되면 검사 결과가 왜곡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응고검사(파란색 튜브)는 매우 민감합니다.

Q4. 모든 병원이 동일한 튜브를 사용하나요?

대부분의 병원은 국제 표준을 따르지만, 일부 제조사나 검사 시스템에 따라 튜브 모양과 라벨이 다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색상 및 첨가제 기준은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8. 마무리 요약

혈액검사 종류별로 사용되는 보틀 색상은 단순한 디자인이 아닌, 과학적인 기준에 따라 구분됩니다.

이 글에서는 혈액검사 종류 보틀별 색상 검체용기를 중심으로 각 튜브의 역할, 첨가제, 사용 검사 항목, 채혈 순서까지 총정리했습니다.

검사실 실무자, 간호사, 의대생, 임상병리사 등 모든 보건의료 인력에게 꼭 필요한 정보이며, 정확한 지식 습득이 환자 안전과 진단의 정밀도를 높이는 열쇠입니다.

 

 

#혈액검사종류 #혈액검사보틀색상 #검체용기구분 #혈액검사튜브 #검체보틀색깔 #채혈용기

#진단검사기초 #의료실무정보 #혈액검사정리 #보건계열공부 #간호사국시 #임상병리사준비

 

 

함께 보면 좋은 글

염화칼륨 (KCL) 효능과 부작용 총정리 : 꼭 알아야 할 사용법

 

염화칼륨(KCl) 효능과 부작용 총정리: 꼭 알아야 할 사용법

우리 몸의 균형을 지키는 데 꼭 필요한 성분, 바로 염화칼륨(KCl)입니다. 병원에서는 심장, 신장, 전해질 문제 환자에게 꼭 쓰이는 이 약물, 잘못 사용하면 심각한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는 사실

do2.blue-oasis.kr

 

CRP 수치가 높으면? C 반응성 단백질 검사로 몸 상테 확인하는 법

 

CRP 수치가 높으면? C 반응성 단백질 검사로 몸 상태 확인하는 법

CRP, C 반응성 단백질이란? 혹시 병원에서 피검사를 했는데 ‘CRP 수치’가 높게 나왔습니다 라는 말을 들어보신 적 있으신가요? ‘이게 대체 뭘까?’ 궁금해지셨다면 오늘 이 글 꼭 읽어보세요.C

do2.blue-oasis.kr

 

EKG 모니터와 병원 바이탈 사인 모니터 차이, 헷갈리는 핵심 정리

 

EKG 모니터와 병원 바이탈 사인 모니터 차이, 헷갈리는 핵심 정리

EKG 모니터와 병원 바이탈 사인 모니터 차이, 헷갈린다면 이 글로 정리하세요병원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의료 장비 중에서 EKG 모니터와 바이탈 사인 모니터는 환자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do2.blue-oasis.kr

반응형